본문 바로가기
건강이 최고다/신장

신장 기능 저하 – 소변 이상으로 먼저 나타난다

by leetivator 2025. 7. 5.
반응형

신장 기능 저하 – 소변 이상으로 먼저 나타난다

구분 임상 지표 및 의미


단백뇨 사구체 여과율 감소 전 사구체 손상 초기 지표, 24시간 단백질 배출 측정 필요
혈뇨 신장주위 손상 또는 요로 이상 의심, 맨눈 혈뇨·현미경적 혈뇨 구별
야뇨(야간뇨) 야간 수분 배출 증가 → 농축 기능 저하, 심부전·당뇨병 감별 검토
올리고뇨 <400 mL/일 소변량, 급성 신부전·신장 관류 저하 시 나타남
다뇨(다뇨증) >2.5 L/일 소변량, 당뇨병·요붕증 등 원인 감별 필요
부종 단백질 손실·나트륨 저류, 사구체 장벽 투과성 증가로 전신 부종 위험


서론

신장은 체내 노폐물을 여과·배설하고 체액·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입니다. 그러나 신장 기능이 감소되면 초기에 비특이적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단백뇨, 혈뇨, 야뇨, 올리고뇨·다뇨, 부종 등 소변 이상이 먼저 관찰됩니다. 조기 진단을 위해 소변 검사와 임상 지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본론

1. 단백뇨: 사구체 손상의 초기 지표

정상 사구체는 단백질 차단 기능이 우수하나, 손상이 시작되면 미세 단백뇨 단계에서 알부민 배설량이 증가합니다.

검사법: 첫 아침 소변 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 24시간 단백질 배출량 측정.

원인: 당뇨 신증, 고혈압, 사구체신염 초기 단계.



2. 혈뇨: 신장 주위 구조 이상 감지

육안 혈뇨: 선홍색 또는 콜라색 소변, 요로 감염·신결석·종양 의심.

현미경적 혈뇨: 소변 현미경 검사에서 적혈구 검출, 초기 신장질환 지표.



3. 소변량 변화: 농축·여과 기능 저하

야뇨: 농축능 저하로 인해 야간에도 소변 배출, 수면 질 저하.

올리고뇨: 급성 신부전 또는 중증 만성 신장기능 저하 시 관찰.

다뇨: 당뇨병·요붕증 등 수분 배출 증가 질환 감별 필요.



4. 부종: 단백 손실 및 나트륨·수분 저류

신장 기능 저하 시 나트륨 배설 감소, 혈장 삼투압 감소로 조직내 수분 축적.

임상 양상: 안면·하지 부종, 복수·흉수 발생 가능.



5. 진단 및 평가

소변검사: 스트립 테스트 후 정량적 분석.

혈액검사: 크레아티닌·BUN·사구체 여과율(eGFR) 산출.

이미징: 신장 초음파로 크기·모양·장애 확인.



6. 치료 및 관리

원인 치료: 당뇨·고혈압·사구체 질환 조절.

약물 치료: ACEi/ARB로 단백뇨 감소 및 신장 보호.

생활습관: 저염식·단백질 조절 식이, 수분 섭취 최적화.

추적 관찰: 정기 소변·혈액검사로 기능 변동 모니터링.





결론

신장 기능 저하는 초기 단백뇨·혈뇨·소변량 변화·부종으로 먼저 나타나므로, 소변 검사와 혈액 지표(eGFR, 크레아티닌)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원인 질환의 적절한 치료와 생활습관 개선, 약물 요법으로 신장 손상을 늦추고, 정기적인 추적 관찰로 합병증을 예방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