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관리 실패 시 망막·신장 손상
구분 주요 특징

당뇨망막병증 미세혈관 손상으로 혈관 누출·신생혈관 형성 → 시력 저하·실명 위험
당뇨신증 사구체 손상 및 단백뇨 발생 → 사구체 여과율 감소, 신부전 진행 가능
서론
안녕하십니까. 당뇨병은 혈당 조절 실패 시 체내 미세혈관과 대혈관에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특히 망막과 신장은 작은 혈관이 밀집한 장기로, 당뇨병의 대표적 미세혈관 합병증인 당뇨망막병증과 당뇨신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두 질환은 초기 증상이 경미해 인지하기 어려우나, 진행 시 실명과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철저한 관리가 필수입니다.
본론
1. 당뇨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1.1. 병태생리
고혈당으로 혈관 내피세포 손상 → 혈관 투과성 증가 및 혈관 폐쇄
허혈 부위에서 VEGF 분비로 신생혈관 및 섬유증 조직 형성
1.2. 분류
비증식성(NPDR): 미세동맥류, 출혈, 부종 → 경고 단계
증식성(PDR): 신생혈관, 섬유증으로 망막 박리 및 녹내장 유발
1.3. 증상
초기: 무증상 또는 비문증(유리체 부유물)
진행: 시야 흐림, 중심암점, 시력 상실
1.4. 진단
안저검사(망막 사진, 형광안저촬영)
광학단층촬영(OCT)으로 황반 부종 평가
1.5. 치료
혈당·혈압·지질 관리로 진행 억제
레이저 광응고술: 신생혈관 및 누출 부위 국소 응고
항-VEGF 주사: 신생혈관 억제 및 황반 부종 개선
유리체절제술: 섬유증 조직 제거 및 출혈 정리
2. 당뇨신증 (Diabetic Nephropathy)
2.1. 병태생리
고혈당·고혈압으로 사구체 여과막 손상 → 단백뇨 발생
사구체 경화 및 세뇨관 간질 손상으로 GFR 감소
2.2. 진행 단계
초기: 미세알부민뇨(30~300mg/day)
중기: 알부민뇨(>300mg/day), 혈압 상승
말기: GFR <15mL/min/1.73㎡, 투석 필요
2.3. 증상
초기: 무증상
진행: 부종, 단백뇨, 고요산혈증, 빈혈, 고칼륨혈증
2.4. 진단
요 미세알부민-크레아티닌 비율(ACR)
혈청 크레아티닌 및 eGFR 계산
신장 초음파로 크기 변화 확인
2.5. 치료
혈당·혈압 조절(ACEi/ARB): 단백뇨 및 진행 억제
저단백·저염식, 수분 균형 유지
지질 관리, 금연, 체중 조절
말기신부전 시 신대체요법(투석·이식)
3. 예방 및 관리 전략
목표 혈당(HbA1c <7%), 혈압(130/80mmHg), LDL 목표치 유지
정기 안저·요 검사: 연 1회 이상 추적검사
생활습관 개선: 규칙적 운동, 식이요법, 금연·절주
다학제적 접근: 내분비·안과·신장 협진

결론
당뇨망막병증과 당뇨신증은 혈당 조절 실패 시 나타나는 대표적 미세혈관 합병증으로, 초기 무증상에서 진행되어 실명과 신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철저한 혈당·혈압·지질 관리와 정기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치료를 시행하고, 항-VEGF 주사, 레이저 치료, ACEi/ARB 등 맞춤 치료로 합병증을 억제하시길 바랍니다. 다학제 협진과 생활습관 개선으로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이 최고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이 왜 생기는지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0) | 2025.07.19 |
---|---|
유산소 먼저? 무산소(근력운동) 먼저? — 이건 정말 많이들 헷갈려 하시죠 (0) | 2025.07.14 |
췌장염 및 췌장암의 조기 경고 증상 (1) | 2025.06.14 |
건강검진 중요성: 50대 이후 정기 건강검진 필수 항목 (0) | 2025.01.25 |
면역력 강화 방법: 나이 들수록 중요한 면역력 관리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