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초음파 검사 및 종류
검사 종류 설명 및 용도

M-모드 초음파 1차원 영상, 심장 구조 움직임 및 거리 측정에 사용
2D 초음파 단면 영상, 심실·심방 크기, 판막 구조 및 기능 평가
도플러 초음파 혈류 속도·방향 측정, 판막 협착·역류, 심장 내 혈류 동역학 분석
컬러 도플러 도플러에 색상 입혀 혈류 패턴 시각화, 복합 혈류 장애 확인
조직 도플러 심근 조직 속도 측정, 심근 수축·이완 기능 정밀 평가
경식도 심초음파(TEE) 식도 경유, 고해상도 영상 획득, 판막·좌심방 부정맥 원인 병변 분석
스트레스 초음파 운동 또는 약물로 유발된 심장 반응 분석, 관상동맥 질환 진단 지원
서론
안녕하십니까. 심장 초음파 검사는 비침습적으로 심장의 구조와 기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핵심 영상 검사입니다. 다양한 초음파 기법을 통해 심장 실질, 판막, 혈류 동역학, 심근 기능 등 여러 측면을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검사 종류와 목적을 이해하면 환자별 최적 검사 기법을 선택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본론
1. M-모드 및 2D 초음파
1.1. M-모드
고속 1차원 스캔으로 판막 움직임과 심장벽 거리 측정에 탁월합니다.
1.2. 2D 초음파
심장의 횡단·종단면 다중 단면 영상을 제공하여 방실 크기, 벽 두께, 판막 구조를 시각화합니다.
2. 도플러 기법
2.1. 펄스 도플러
특정 위치의 혈류 속도·방향 측정으로 판막 협착·역류 정도 정량화
2.2. 컬러 도플러
혈류 흐름을 색상으로 표현하여 판막 및 혈관 내 혈류 이상 부위 직관적 확인
2.3. 조직 도플러
심근 조직의 수축·이완 속도 측정, 심부전·이완기 기능 장애 평가
3. 특수 초음파
3.1. 경식도 심초음파(TEE)
식도 내 프로브 삽입, 고주파수로 심장 후벽 및 좌심방 부위 정밀 영상 획득
인공판막, 심장 내 구조 이상, 혈전 진단 시 필수
3.2. 스트레스 초음파
운동(러닝머신) 또는 도부타민 주입으로 유발된 심장 반응 분석
관상동맥 혈류 제한 부위의 운동 유발 허혈 진단
4. 검사 절차 및 주의사항
준비: 금식 불필요, 이부프로펜 등 저음압 약물 중단 확인
시행: 좌측 경사 자세로 흉벽 접촉, TEE 시 금식·진정제 필요
주의: 프로브 삽입 시 식도 손상, 도부타민 스트레스 시 심부정맥 위험 관리

결론
심장 초음파 검사는 M-모드, 2D, 다양한 도플러 및 특수 기법을 통해 심장 구조·기능을 비침습적으로 정밀 평가할 수 있는 필수 검사입니다. 환자 상태와 진단 목적에 맞추어 적절한 초음파 기법을 선택함으로써 심장 질환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치료 방향을 최적화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이 최고다 > 심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혈액 순환이 나빠지는 원인 6가지 – 무심코 지나친 습관이 만든 ‘몸 안의 교통 체증’ (0) | 2025.07.24 |
|---|---|
| 고지혈증과 심혈관 합병증 연결 고리 (0) | 2025.07.01 |
| 헤모글로빈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 (0) | 2025.06.30 |
| 동맥경화증 증상 및 원인 치료 (0) | 2025.06.07 |
|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통증 차이 (0) | 2025.06.06 |